수출용 자동차
[연합뉴스 자료사진]
(부산=연합뉴스) 김선호 기자 = 부산시가 미국의 고율 관세 조치로 타격이 예상되는 지역 자동차·부품 기업에 유동성 자금 등 총 4천265억원 규모의 지원에 나선다.
부산시는 29일 제51차 비상경제대책회의를 열고 부산 자동차 산업 위기 극복 대응 전략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자동차 관련 기업 5개사, 전문가, 대학, 유관 기관 등에서 관계자 20여명이 참석했다.
부산시는 총 4천265억원 규모의 3대 전략, 7대 세부 과제로 된 대응 전략을 수립했다.
우선 지역 중소기업에 총 1천억원 상당의 시설 투자 자금을 지원하고 부품 기업이 판로 확대와 대체 부품 개발에 나서도록 돕는다.
최근 긴급 편성된 통상 분야 정부 추경 예산의 정책 자금을 지역 기업이 활용하도록 행정적인 지원도 한다.
시는 미래 차 산업 생태계를 고도화하는 전략도 펼친다.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미래 차 전동화 요소 부품 지원 사업, 초대형 차체 일체화 부품 개발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
미래 차 에너지 저장·구동 부품 소재의 안전 성능과 실증 기반을 구축하고 미래 차 사이버 보안 검증 지원 센터를 구축하는 등 핵심 기반 시설 확충에도 힘쓴다.
자동차 부품 산업 역량을 강화하는 지원책도 마련했다.
부품 기업의 물류비를 줄이는 AI 기반 디지털 공동 물류 플랫폼을 만들고 자율주행 기반 스마트 항만 기술 개발로 물류 효율성을 높인다.
자동차 분야 산학 협의체도 구성하고 지역혁신센터, 완성차 기업과 연계한 인재 양성 시스템을 만들어 지역 자동차 산업의 기반을 다진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오늘 발표한 대책은 관세 전쟁의 위기에서 지역 기업을 보호하는 장치"라며 "나아가 지역 주력 산업인 자동차 산업이 미래 차 산업으로 전환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wink@yna.co.kr
출처-연합뉴스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0/200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