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모빌리티산업연합회 '자동차산업 정책과제' 포럼
강남훈 KAIA 회장
[KAIA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홍규빈 기자 = 수출 환경 악화, 내수 부진 등 복합 위기에 놓인 국내 자동차 산업에 대한 지원이 다각도로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자동차모빌리티산업연합회(KAIA)는 24일 서울 서초구 자동차회관에서 '신정부에 바라는 자동차산업 정책과제'를 주제로 제42회 자동차모빌리티산업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김준기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 상무는 주제발표에서 "미국 고율 관세, 전기차 수요 둔화 등 복합 위기로 산업 기반이 흔들리는 만큼 민간의 투자 확대를 뒷받침해야 한다"며 "자동차 산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육성하고 인센티브 기반 지원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상무는 "국내 생산 기반 유지를 위해서는 원가 절감과 생산성 향상이 중요하다"며 "연장근로시간 총량 규제를 개선하는 등 노동유연성을 확대하고 노조법 2·3조 개정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조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자동차의 소프트웨어화와 인공지능 기술 역량이 기업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요소가 되고 있다"며 "소프트웨어 중심의 생태계 조성과 부품업계의 기술 전환 대응력 제고가 정책적으로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래 차 부품산업 전환 촉진을 위한 특별법이 제정됐지만 실효성이 낮다"며 관련 예산 확대와 지원 체계 마련을 강조했다.
김영훈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실장은 중소·중견 부품기업에 대한 장기 저리 금융, 연구개발 투자 확대, 고용보조금 신설 등을 건의했다.
조합에 따르면 국내 부품 기업들은 주요 애로사항으로 '자금 부담 증가'(28.2%), '관세 부담액 분담 우려'(26.6%) 등을 꼽았고 정책 방향으로는 '관세 면제·감축 협상'(43%), '환율 변동에 따른 수출 리스크 대응'(20.2%), '현지 진출 지원'(18.7%) 등을 요청했다.
강남훈 KAIA 회장은 "보호무역주의 강화, 중국의 미래차 주도권 확장, 글로벌 전기차 수요 둔화 등으로 수출 환경이 악화했고 국내에서는 내수 회복세가 불안정한 가운데 생산 기반이 흔들리고 있다"며 "전방위적인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bingo@yna.co.kr
출처-연합뉴스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0/2000자